1.백혈병이란?
간단히 말해서 백혈병은 "종양" 이다. 많이들 듣다 싶이 위암, 간암처럼 백혈병 역시 혈액에 생기는 ‘암’이다. 그럼 혈액은 어디서 만들어질까? (소아는 간이나 비장에서도 만들어지지만) 골수에서 만들어진다. 결론적으로 백혈병 = 골수에 생기는 암 이라는 것이다.
그럼 종양은 뭘까? 사실 여기에 대해 얘기하려면 엄청 길어서 간단히 말한다. 종양이란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정상세포처럼 죽지않고 계속해서 증식 만 하는 세포덩이들을 말한다. 얌전하게 증식 만 해서 크기만 커지는 걸 양성 종양, 증식하다가 온몸에 퍼져서 정상세포들을 죽이고 그 자리를 차지하는 세포 덩이를 악성종양=암 이라고 한다. 백혈병은 "암"이니깐 치료안하고 방치해두면 결국 온 장기에 퍼져서 결국 죽게 될 수도 있다.
2. 백혈병의 종류
백혈병의 종류로는 4가지가 있다.
1.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AML
2.급성림프구성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ALL
3.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CML
4.만성림프구성백혈병(Chronic Lymphoblastic Leukemia)=CLL
네 가지를 구분한 이유는 임상양상, 발생기전, 치료방법, 예후가 달라서인데 그중 발표로 자세히 설명할 부분은 만성골수성백혈병인 CML이다. 일단 간단하게 4가지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골수에서는 조상세포인 줄기세포가 있다. 줄기세포들은 스스로 증식 분화하면서 다른 세포들로 만들어지는데. 여기서 한단계 진화를 하면 Myeloid cell과 Lymphoid cell 로 나뉘어진다 Myeloid cell 은 분화를 거쳐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으로 만들어지고 Lymphoid cell은 혈세포들을 만든다. 그런데 이런 과정에서 어떤 세포 하나의 유전자가 암성 유전자로 변하면 더이상 진화를 못하고 정지된 채 죽지도 않고 폭발적으로 증식만 하는게 백혈병이다. 백혈병의 이름의 유래는 백혈구가 많아져서 피가 흰색을 띠어 백혈병인데 사실 백혈구가 감소할 수도 있고 적혈구가 증가할 수도 있다고 한다.
어쨌든 Myeloid cell 이 분화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폭발적 증식= AML or CML(골수성백혈병),
Lymphoid cell이 분화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폭발적으로 증식=ALL or CLL 이다(림프구성백혈병).
얼마전에 응답하라 1988에 노을이로 출현한 배우 최성원도 급성백혈병으로 입원하였다고한다. 여기서 급성과 만성을 나누는 기준은 여러 혈액검사 소견, 임상양상, 유전자 이상등을 종합해서 나뉘는 것인데, 급성이 유전자가 안좋아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성은 암이 됐어도 어느정도 제정신을 차리고 있어서 정상 백혈구 비슷한 놈들을 조금씩 만드는데 급성은 분화가 하나도 안되고 임상양상도 안좋고 더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백혈병은 나이가 중요한 요소인데, 이는 나이에 따라 발생하는 빈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소아(18세)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경우는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이다.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AML, CML, CLL의 빈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것들을 비추어 보았을 때 배우최성원은 아마 골수성이 아닐까 싶다.
3.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CML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9번, 22번 염색체의 각각 일정 부분이 절단된 후 두 조각이 서로 전위하는 현상에 의해 생긴 필라델피아 염색체에 의해 발병한다. 이 염색체 전위로 인해 9번 염색체의 ABL 유전자와 22번 염색체의 BCR 유전자의 융합이 일어나게 되고, BCR-ABL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게 된다. 이 유전자는 발암단백질인 P210을 합성하고, p210이 골수구 전구세포들의 사멸프로그램을 억제하여 이들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폭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만성 골수성 백혈병 발생의 분자생물학적 발병 기전은 잘알려져 있지만, 질병의 진행과 급성전환기로의 세포 유전학적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급성 전환기에서 종종 관찰되는 또 다른 염색체 변이들을 볼 때, 필라델피아 염색체 전위로 인해 발생한 유전자의 불안정성이 이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백혈병의 증상
백혈병의 증상은 다양하다. 골수성 암이 자라니까 정상 세포들은 자랄 공간도 없다. 그래서 여러 혈구세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들이 부족해서 증상이 나타난다.
1) 혈구세포의 부족= 빈혈, 감염(백혈병 세포는 아무리 백혈구가 많더라도 정상기능을 못함. WBC 10만이라서 면역이 강한 것이 아니라 감염되면 죽어가는 것), 출혈 등
2) 암세포의 침윤. 백혈구 암세포들은 암이니까 온몸에 침범을 할 수 있다. 근데 백혈병 타입마다 잘 침범하는 부위가 다르다. 어쨌든 림프절 비대, 간,비장 비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비특이적인 증상= 열, 피로감, 권태감, 체중감소
만성 환자(CML, CLL)는 분화능력이 어느정도 있고 천천히 증가or감소하기 때문에 무증상이 대부분이다.
5. 백혈병의 진단
백혈병은 혈액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일 때가 많아. 정상인이라면 골수에서 다 성숙된 백혈구가 나와서 혈액에 돌아다니는데, 골수에서만
존재해야 할 미성숙세포가 나오면 일단 이건 이상한것이다.
뼈에다가 구멍을 뚫어서 뽑아내어 검사하는데 골수의 20%이상이 미성숙 백혈구라면 이건 Leukemia로 확진 되는 것이다. 그후에 분자 검사를 통해 AML ALL CML CLL 4가지중 확인한다. 다 큰 성인도 죽는 고통을 체험한다고 하니 대부분 마취를 하길 권장한다.
6. 백혈병의 치료
백혈병들의 치료법들을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ALL은 항암치료로 완치할 수 있다고 한다. AML은 항암치료 반응이 안좋아서 일단 항암치료를 한 뒤 골수이식을 하는게 표준 치료다. CLL은 항체와 함께 화학요법으로 복합 치료 혹은 조혈모세포이식을 하여 치료할 수 있다.
우리가 자세히 다룬 CML은 크게 치료법이 두가지로 나뉜다.
1) 항암화학 요법
항암 화학 치료 요법은 간단하게 말해서 복합 약물 치료이다 치료로 쓰는 약물로는 대표로
imatinib mesylate, 상품명으로는 gleevec(글리벡)이 있다. 이 약의 등장으로 환자는 초기에만 발견하고 반응만 좋으면
고혈압처럼 평생 먹으며 관리하며 정상인의 삶을 살 수 있다.
최근에는 글리벡의 부작용을 개선한 약인 dasatinib이 나왔다. 글리벡이 안듣는 CML의 경우 이약을 쓰거나 애초에 이 약을 사용했을
때 더 효과가 좋다는 보고도 있다고 한다.
글리벡은 BCR-ABL 융합 단백질에 있는 아데노신 3인산 결합부위(ATP)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단백질의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약제이다. 글리벡은 유도미사일처럼 암세포만을 골라서 파괴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와 달리 정상세포를 거의 죽이지 않아 기존의 치료법보다 부작용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 BCR-ABL유전자의 변이에 인해 글리벡에 내성이 생기게 되고 병이 악화 될 수 있다. 그런 경우는 앞서 말한, dasatinib을 처방한다.
2) 조혈모세포 이식
종류 2가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은 동종 말그대로 같은 종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것인데, 인간은 다른
인간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만성 골수성백혈병 완치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한다.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의 경우는 숨어있는 백혈병 세포에 의한 재발이 일어날 수 있어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에 비해
치료 성적이 좋지 않다. 가장 큰 단점은 이식 자체에 의한 사망률 및 이환율이 10~70%에 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초기 치료로서 이식보다는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생존율이 더 우수하다는 추세이며, 편하고
안정적이라서 대부분 약물치료를 하고 있다.
7. 백혈병의 예후
예후는 백혈병 타입 마다 다르므로 다 다루진 않는다. CML의 경우imatinib 을 복용시 혈액학적 완전관해(즉, 현미경으로 봤을 때 정상)로는 95%, 7년 급성기 미진행율(CML에서 상태가 악화되지 않는 경우) 93%, 5년 이상 장기 생존율 95% 정도이다. 단, 약을 귀찮아서 안 먹고 그러면 재발 가능하고 재발 하면 반응 안좋으니까 꼭 먹도록 해야 된다.
'상식 및 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살인 청부 어플 (0) | 2016.06.03 |
---|---|
[정보,스압] 한자에서 유래된 순우리말 (0) | 2016.06.03 |
[정보] 이로운 마약 (0) | 2016.06.01 |
[스압,정보] 세계 군사비 TOP 15 (0) | 2016.06.01 |
북한의 대북 제재 이후의 상황 (0) | 2016.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