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rmone control of the estrus cycle
(발정 주기에서의 호르몬 조절)


- 발정 주기의 조절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전엽, 난소의 번식호르몬의 상호작용

- 자궁과 난소 사이의 상호작용도 중요
    - 자궁 내막:PGF2a - 천연 luteolysin(황체퇴행물질) = 황체 퇴행, progesterone 생산 감소

- Dietrus(발정휴지기)->자궁제거->황체의수명연장->발정주기가 늘어남

- Gonadotropin(FSH, LH)과 난소 steroid계(Estrogen, Progesterone)의 
        농도: -> 발정주기를 통하여 많은 가축에서 그래프로 추적
               -> 이들 종들을 비교해서 볼 때 유사점이 많다.

- Progesterone의 농도는 발정 휴지기 기간에 높다가 발정 전기(Proestrus) 시작신호가 오면 감소


특징

- 발정휴지기(Diestrus)->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높음

- 발정후기(Proestrus)-> FSH, LH, Estradiol 조금씩 증가

- FSH, LH, 에스트로겐의 급증 -> 배란 유도

- 프로게스테론: 발정 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 발정 휴지기 때 황체가 프로게스테론 분비

임신시 progesterone은 estrogen 분비를 억제 (무발정시기)

* 임신이 일어나지 않았을 때->PGF2a 분비->황체 퇴행->프로게스테론 감소->GnRH, FSH, LH 증가
        -> 난포 발달, Estrogen 증가 -> 발정(Estrus)


월경 (생리)

- 영장류는 2차성징 후 폐경기까지 계속된 월경 주기를 갖음

- 사람에서의 월경

28일의 주기
생리는 5일 동안 함
난포기(follicular phase)는 9일동안 [FSH, LH, Estradiol 서서히 증가하다 배란하기 조금전 급증]
황체기(Luteal phase)는 14일동안 [발정휴지기: 높은 Progesterone 농도, FSH, LH, Estradiol 감소]
난포기와 황체기 사이에 배란(ovulation)이 이루어짐 [FSH, LH, Estradiol 급증]


자궁내막층(무수히 많은 꼬인 동맥들 존재)

FSH&LH 분비가 멈추면 자궁내막층의 붕괴가 일어남

혈액 공급이 끊기고 자궁이 벗겨내짐

Heparin(헤파린)은 항응고제로서 퇴행하는 자궁 조직을 생리 일으킴

'과학정보 > 성 성숙과 발정 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trus cycle (발정주기)  (0) 2016.06.11
Puberty(성 성숙)  (0) 2016.06.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