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rus cycle (발정주기)

Estrus cycle: 하나의 발정주기의 시작과 끝의 생리학적 현상들의 조합



발정주기:cow


Estrus(발정기): 배란이 된시기 (1일차), 발정이 시작 된다는 신호를 보내는 시기

Metesturus(발정후기): 배란후 황체 생성 및 유지 (2일~4일차)

Diestrus(발정정지기(중지기, 휴지기)): 임신 중 또는 분만 후 초기, 황체 유지(5일~16일차)
         무발정(anestrus)기간

Proestrus(발정전기): 임신이 안되면 발정 전기로 넘어옴(17일~21일차)


프로게스테론 농도 감소, PGF2a 증가(황체의 tissue에서 분비), 다음 발정을 위해 에스트로겐 피드백, 황체 퇴행, 난포생성 및 성장


- 발정 주기는 주기적이고 연속적으로 일어남

- 계절 번식 동물(양, 사슴, 말)


배란과 황체 형성


1) Spontaneous ovulator(자연스러운 배란 동물)

Functional corpus luteum(CL) formation

돼지와 소(비계절적
말과 양(계절적)

Non-functional CL formation (only mating)

설치류
- 정관수술한 웅성과의 교미후 가임신 및 수정란 삽입 실험


2) Induced ovulator(인위적인 배란 동물)


토끼, 고양이, 낙타(교미 후 배란동물)
리듬적인 난포의 발달을 갖음


질 자극-척수 신경-시상하부-GnRH-뇌하수체 전엽(LH)-배란(Ovulation)


In rabbit(토끼): 교미후 10시간 뒤 배란



발정 징후
    발정기(Estrus)
        암컷이 수컷의 mounting(승가)를 허용, standing해 있음(발정행위,행동 현상)
        생리적인 징후로는 혈중 progesterone의 농도 감소, 황체 퇴행(발정 전기의 특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