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의 수정능 획득(Capacitation)
수정능 획득: 정자가 암컷의 생식기도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무르면서 생리적&기능적으로 변화
- 정자가 난자의 투명대(zona pellucida)와 난황막(난황을 감싸는 세포질막)을 통과
- 난자의 세포질로 진입하여 수정(fertilization)
- 자궁에서 개시 되지만, 주된 장소는 난관, 특히 협부
정자의 수정능 획득 과정
1. 수정능파괴인자(decapacitation factor, DF)가 함유되어 있는 Seminal plasma(정자 표면막) 제거
2. 정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당단백질 제거
3. 정자의 원형질막이 변화
-당잔기의 제거, 인지질의 메틸화, 스테롤/인지질 비율 감소, 지질과 단백질의 이동성 증가
Sperm capacitation(정자의 수정능 획득): 세정관에서 생성 후 정자의 두번째 성숙
- 첫번째 성숙: 정소상체에서
1. 정자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운동성 획득
2. 수정능력 획득(예비 능력)
3. 세포질소적(cytoplasmic droplet)이 없어짐
- 두번째 성숙: 난관에서
투명대 통과능력->수정 가능
*정자는 두번째 성숙을 거쳐야 투명대를 뚫고 수정을 할 수 있음
암컷의 생식관에서 이루어짐
정자세포벽에 있는 지질단백층의 제거가 필요하다는것으로 인식->투명대 뚫는 물질 방출
첨체 반응
첨체반응: 정자가 난자의 투명대를 통과하여 난자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수정능력획득에 이어 형태적인변화를 하여 첨체효소를 방출하는 과정
첨체반응 과정
1. 수정능력 획득과정에서 정자피복항원, 즉 수정능파괴인자가 제거
2. 정자의 원형질막과 첨체외막이 알부민등의 영향을 받아 유동성이 증가되고, 첨체내로 통할수 있는 구멍이 만들어 짐
3. 이 구멍을 통하여 hyaluronidase가 첨체외로 방출 되는 동시에 칼슘(Ca++)이 첨체내로 유입, 이 Ca++에 의해 Proacrosin이 Acrosin으로 활성화됨
->첨체에 구멍생김->Hyaluronidase 구멍으로 방출
->구멍으로 칼슘 유입(Proacrosin->Acrosin)
4. 적도부를 제외한 첨체외막 모두 탈락(첨체 내막만 남음)
*형태적으로 볼 때 투명대를 통과하여 위란강으로 들어온 정자는 첨체반응이 완료 상태
'과학정보 > 배우자형성(Gametogen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란(ovulation) (2) | 2016.06.15 |
---|---|
난포와 난자 (0) | 2016.06.15 |
정자의 구조 (0) | 2016.06.12 |
정자발생과정(Speramatogenesis) (0) | 2016.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