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포와 난자

ova=egg 난자, oocyte:수정 전 난자, zygote 수정된:one cell, embryo:착상직전의 수정 난자, fetus: 태아


특징)
    1. 정자와 같은 생식세포이지만 운동성x
    2. 용적은 정자의 수천, 수만배
    3. 난자의 크기는 다양하다


난포의 형성과 발달

A.태아기: 한층의 과립세포(granulosa cells)로 된 제1차난포가 2층 또는 여러층의 과립 세포로 둘러쌓인 2차 난포로 발달, 난모세포는 투명대로 쌓여짐


B.대부분의 가축종에서 출생당시:
    제3차 난포는 난포강이 있으며, 많은 과립세포층을 가진다.

방사관 세포는 투명대를 둘러싸고 있다.

->FSH는 과립세포들(granulosa cell)들의 증식을 촉진, 제1차 난포에서 제2차 난포로 발달 촉진,

과립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난포강을 형성


C. 성성숙 이후:
    Graafian follicles로 난포가 발달하고 난포강에 난포액이 찬다.
    재란구, 과립막층, 내협막세포, 외협막세포 형성

->FSH의 자극 -> 몇 개의 성공적으로 발달한 제 3차 난포만 가능

-다산성 동물은 많은 난포생성, 단상성 동물은 1~2개의 우수한 난포 발달

-배란 전 FSH, LH 급증에 의해 배란 전 난포가 성숙되어진다.
-FSH에 의한 과립세포 증식은 일어나지만, LH에 의한 협막세포의 증식 거의 일어나지 않음

-배란은 LH급증에 의해 일어남


Oogenesis(난자 형성)

A. 난원세포의 기원:
B. Fetal period: 태아이전 난소에 도착

a. 난소실질 안에서 체세포 분열에 의해 난원 세포의 증식이 일어남

b. 체세포 분열에 의해 제 1 난모세포 단계까지 성숙

C. Shortly after birth(출생 직후)
      a. 난원세포의 체세포 분열이 멈추고, 최대수의 난모세포가 존재
      b.제 1난모세포가 자라며 투명대가 형성된다.
      c. 성숙이 되나 제1성숙분열(감수분열)의 전기의 후부에서 발달을 중지한다(정지상태).
      ->diffuse dipoltene기, 성 성숙 전 까지 중지->특정한 몇 개의 난자만 다음 단계로 넘어감

D. From puberty(성성숙 이후)

a.대부분의 난모세포는 폐쇄되고 몇몇 제 1난모 세포가 발달을 시작->극 소수만 성숙에 도달
  성숙된 난모세포는 배란전 LH 급증에 의해 배란기 동안 방출됨
  말은 제1난모세포 단계에서 방출하고, 대부분의 다른 가축들은 제 2난모세포 단계에서 방출

b.제1성숙분열은 완성되지만 제2성숙분열(감수분열)의 metaphase 2기(중기에서 중지,수정전까지)에서 멈춤

E. After ovulation

배란 후 수정이 일어나고 준비하고 있던 제 2 성숙분열이 다시 시작되고 접합체를 형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