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란(ovulation)
난포를 둘러싼 6개의 세포층을 배란을 위해 분해시킴
1)Membrane granulosa(과립막)
-난포의 가장 엷은 부분이 분해되고 , LH, progesterone, PGFa2에 의한 단백질 분해효소에 소멸
2)Basement membrane(기저막)
-Plasmin에 의해 퇴화됨, PGE2 증가에 의해 촉진 되어진 Plasminogen activator에 의해 Plasmniogen이 활성화되어 하나의 단백질 분해효소가 된다
3)Theca interna(내협막 세포층)
4)Theca externa(외협막 세포층)
5)Tunica albuginea(백막)->collageneous 단백질
6)surface epithelium(표면 상피)
->PGF2a에 의해 난포의 엷은 부위에 있는 표면 상피층과 백막 사이의 라이소좀과 같은 주머니를 파괴시켜 그 속에 들어있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집중적으로 분해됨
A. 배란시간: 배란전 LH 급증후 24~25시간 정도에 발생:Cows (대부분은 바로 발생)
B. Mechanism
-LH의 자극으로 급성 염증성 반응을 일으킴으로 해서
-Estradiol과 prostaglandins의 증가에 의해 난포액속의 P4(progesterone4)농도 증가
-난포 주위의 혈류속도가 빨라짐 -> 필요한 물질이 많이 공급됨
-PGE2에 의해 난포 정점의 상피세포가 엷어짐
-PGF2a에 의해 근육 수축 운동이 촉진됨
C. 난모세포의 방출 - 방출된 난자(제 2 난모 세포)
-난관 누두부로 배출
-둘러싸고 있는 난구세포는 어떤 가축에서는 재빨리 멀어져 나간다.
(투명대만 남고)
'과학정보 > 배우자형성(Gametogen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포와 난자 (0) | 2016.06.15 |
---|---|
정자의 수정능 획득(Capacitation) & 첨체 반응(Acrosome Reaction) (1) | 2016.06.12 |
정자의 구조 (0) | 2016.06.12 |
정자발생과정(Speramatogenesis) (0) | 2016.06.12 |